멀리 보기 2007. 6. 4. 15:35

아이들은 정말로 교복을 입고 싶어 할까 / 김성중


교복을 입고 싶어서 안달을 하는 아이들을 만난다. 교복을 입어야 중학생답다고 느끼는 그들이다. 학부모도 마찬가지다. 초등학생 티를 벗은 자녀의 모습을 보고 싶은 것이다. 자녀의 성장한 모습을 확인하고 싶은 것이다. 자녀가 성장하면 부모의 품을 벗어나는데도 말이다.

그러나 조금만 생각해보면 교복을 입어야만 중학생답다는 생각이 얼마나 속 좁은지 알 수 있다. 교복을 입어야만 중학생이 되는 것인가? 유치원생은 유치원복을 입고 있다. 그러면 초등학생은 초등학생복을 입는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초등학생복을 사달라고 떼쓰는 아이들이 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없다. 대학생이 되었다고 대학생복을 사달라고 조르는 대학생이 있는가?

군인이 되면 싫어도 군복을 입어야 한다. 직장에 들어가면 그 회사의 유니폼을 입는다. 물론 유니폼을 입지 않는 사람도 있다. 그러니까 유니폼을 입으면 어느 회사의 사람인지 쉽게 알아볼 수 있고, 결속력이나 유대감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중학생에게 어떤 소속감이나 결속력이 왜 필요한가? ○○학교라는 것은 배움을 위해서 잠시 머무르는 곳이 아닌가? 아니라고? 한 번 모교는 영원히 모교라고? 해병대 구호 같네. 이렇게 어떤 조직에 개인을 가두어버리는 우리 사회의 문화가 교복을 입지 않으면 불안한 마음이 들게 하는 이유가 되는 것일까?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교복을 입음으로써 단정하게 보이고 규칙을 잘 지키는 모범적인 학생이 될 것을 기대한다. 그리고 새 옷을 사주어야 하는 경제적 부담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빨리빨리 교복을 입혀버리려고 안달이다. 그래야 안심이 되니까. 결국 부모의 자식 사랑이라는 말로 그럴 듯하게 포장되어버린 교복이 아이들의 몸을 감싸는 순간, 모든 아이들이 획일화된 모습으로 개성이 말라버릴지도 모른다.

어떤 사람은 자유를 주면 불안해한다. 누군가 자기를 지도하고 이끌어주기를 바란다. 혼자서 걸어가라고 하면 두려워서 한 발짝도 떼지 못한다. 마마보이가 되어버린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과잉보호를 한 탓이리라. 교복은 아이들을 위험으로부터 지켜줄 것인가? 정녕 그렇게 믿고 싶은가? 그까이것 천쪼각이 무슨 마법의 손이라도 된단 말인가?

교복을 만드는 회사들은 교복을 입는 학교가 있으므로 돈을 벌게 된다. 그래서 끊임없이 아이들의 마음에 드는 교복을 만들어 내고 유명 연예인을 내세워 홍보한다. 교복을 입으면 멋져 보일 것이라는 신화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아이들은 그 신화의 마술에 빠져든다. 신화를 깨는 것은 늘 힘들다. 신화에서 깨어나 온전한 이성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미쳐버릴 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적당히 살아도 되는 것인가? 벌거벗은 임금님 우화가 떠오른다.

posted by 추월산
: